Skip Menu
Total : 556건 (1/70)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제13대 정순호 학장 취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제13대 정순호 학장 취임

“교육·연구·진료의 본질 지켜 책임 있는 의사 양성할 것” 인제대학교(총장 전민현) 의과대학 제13대 학장으로 부산백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정순호 교수가 취임했다. 임기는 9월 1일부터 2년이다.  인제대는 27일 부산캠퍼스 의과대학 1층 강당에서 학장 이·취임식을 열었다. 행사에는 이성범 교학부총장, 이병두 의약부총장, 양재욱 부산백병원장, 김성수 해운대백병원장, 홍태용 김해시장(인제대 총동창회장) 및 교직원 등이 참석했다. 지난 6년간 의과대학을 이끈 최석진 제12대 학장은 학생 맞춤형 교육체계 확립, 절대평가 제도 정착, 의학교육 내실화 등의 성과를 남겼다. 인제의대는 이를 바탕으로 의학교육평가인증 6년 인증을 획득하며 안정적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 학교 측은 그간의 노고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공로패를 전달했다. 신임 정순호 학장(1965년생)은 인제대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의학석사, 부산대 의과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소아마취와 중환자의학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아 왔으며,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장, 의학교육실장, 통합교육과정 책임교수, 학생부학장, 교무부학장 등을 두루 거치며 교육과 행정 전반에서 경험을 쌓았다.  또한 재임 중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여성가족부 청소년 상담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등 의학교육 혁신과 학생지원에 힘써 왔다. 정순호 신임 학장은 취임사에서 “교수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교육·연구·진료의 가치를 지켜야 한다”며 “인제의대를 졸업한 학생들이 환자의 고통에 귀 기울이고, 사회와 국가에 책임을 다하는 의사로 성장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은 이번 학장 선임을 계기로 교육 혁신, 산학 연계 및 사회적 책무성을 강화하여 글로벌 보건의료 인재 양성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2025.08.28
2025년 7월 인제의대 교원 연구논문리스트 (연구처 업적 등재기준)

2025년 7월 인제의대 교원 연구논문리스트 (연구처 업적 등재기준)

▶ 최종작성일: 2025년 8월 11일 ▶ 2025년 7월(7.1.~7.31.) 인제대학교 연구처로 업적 등재된 의과대학 교원 논문 리스트 입니다. (월 1회 업데이트) ▶ 논문명을 클릭하면 원문을 보실 수 있는 화면으로 연결됩니다. 구독 저널에 한정하여 FullText 이용가능합니다.       단, 교외에서 논문의 Full Text를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의학도서관 홈페이지(medline.inje.ac.kr)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 저자가 연구처에 업적을 등재한 시점을 기준으로 한 리스트이기에, 업적등록을 하지 않은 경우 해당 리스트에 누락 될 수 있습니다.        누락된 경우 관련 담당자(교내 ☎ 6814 / libparkhw@inje.ac.kr)에게 Original Article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No. 저자정보 논문정보 소속 1저자 교신저자 제목 저널명 1 기생충학교실 주기백 - Applications of virus-like particles in the prevention of protozoan parasite infection Nanomedicine 2 생의학융합교실, 해운대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서미경, 이정구 박성우 SRT2104 enhances dendritic outgrowth and spine formation through Sirtuin 1-mediated mTORC1 signaling Scientific Reports 3 생의합융합교실, 해운대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서미경 이정구, 박성우 Establishment of a Depression Model Using Dexamethasone-treated Three-dimensional Cultured Rat Cortical Cells.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 4 부산백병원 가정의학과, 해운대백병원 신경과 김진승, 이동아 박강민 White matter alterations in cluster headache identified using PSMD analysis Scientific Reports 5 부산백병원 호흡기내과 김미영 - [Letter tothe editor] Reply to "Cough Hypersensitivity Questionnaire: aquantifiable indicator of hypersensitivity stat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In Practice 6

2025.08.13
2025년 6월 인제의대 교원 연구논문리스트 (연구처 업적 등재기준)

2025년 6월 인제의대 교원 연구논문리스트 (연구처 업적 등재기준)

▶ 최종작성일: 2025년 7월 15일 ▶ 2025년 6월(6.1.~6.30.) 인제대학교 연구처로 업적 등재된 의과대학 교원 논문 리스트 입니다. (월 1회 업데이트) ▶ 논문명을 클릭하면 원문을 보실 수 있는 화면으로 연결됩니다. 구독 저널에 한정하여 FullText 이용가능합니다.       단, 교외에서 논문의 Full Text를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의학도서관 홈페이지(medline.inje.ac.kr)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 저자가 연구처에 업적을 등재한 시점을 기준으로 한 리스트이기에, 업적등록을 하지 않은 경우 해당 리스트에 누락 될 수 있습니다.        누락된 경우 관련 담당자(교내 ☎ 6814 / libparkhw@inje.ac.kr)에게 Original Article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No. 저자정보 논문정보 소속 1저자 교신저자 제목 저널명 1 약리학교실 - NGUYEN PHUOCLONG The lipidome landscape of amiodarone toxicity: An in vivo lipid-centricmulti-omics study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2 부산백병원호흡기·알레르기내과 김미영 - Longitudinal evaluation of the Cough Hypersensitivity Questionnaire in a cohort of chronic cough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In Practice 3 부산백병원 정형외과 정수환 SacroiliacJoint Ankylosis in Pelvic Ring Injuries with Posterior Ilium Fractures Hip and Pelvis 4 상계백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강진규 - Long-Term Outcome of a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on Efficacy and Safety of High-Dose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48-h Interfraction Interval for ≤5 cm Hepatocellular Carcinoma Liver Cancer 5 상계백병원 정형외과 이상림 -

2025.07.16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지역 의료인재 양성 위해 지자체 및 지역 의과대학과 협력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지역 의료인재 양성 위해 지자체 및 지역 의과대학과 협력

- 부산·경남 5개 의과대학, 부산광역시·경상남도와 업무협약 체결 -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이 부산·경남 지역의 의료인재를 양성하고 지역 의료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지자체 및 지역 의과대학과 협력에 나섰다. 인제의대는 지난 7월 9일(수),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부산대학교·경상국립대학교·고신대학교·동아대학교 의과대학과 함께 ‘지역 의료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지역 중심의 의학교육과 실습 체계 구축을 통해 필수의료 분야의 인력난을 해소하고, 지역에서 배출된 의료 인재가 해당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지자체와 의과대학이 함께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지역사회 연계 협력체계를 마련하고, 지역완결형 의료체계의 기반을 조성하고자 함이다. 협약을 통해 7개 기관은 지역 의료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협의체를 구성하고, ▲지역 맞춤형 교육과정 공동 기획 ▲공공의료기관 실습 연계 ▲교육 인프라 개선 및 정책 협력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교육부의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와도 연계해 지속 가능한 의료인재 양성 기반을 다진다는 방침이다. 이번 협약에서 인제의대는 지역사회의 보건의료 향상을 위한 사회적 책임을 다시 한번 되새기며,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의학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인제대학교 부속백병원 네트워크를 통한 실질적 의료 현장 연계 또한 본 협력체계에서 중요한 자산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참여한 모든 기관은 필수의료 인력 부족과 수도권 의료 쏠림 현상이 심화되는 현실 속에서, 지역에서 배운 인재가 지역에 머무를 수 있는 환경 조성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는 데 뜻을 모았다. 최석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학장은 “이번 협약은 지역 중심의 의학교육 체계를 정립하고, 지속 가능한 의료 인재 양성 기반을 구축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인제의대는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공공성과 전문성을 갖춘 의사를 양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은 부산·경남 4개 의과대학과 함께 ▲의과대학 재학생들의 공공의료기관 현장 실습 지원 ▲지역 의료 인재 양성을 위한 협의체 운영 ▲정보공유 및 상호협력 강화를 위해 부산의료원, 마산의료원, 부산보훈병원, 거창적십자병원, 근로복지공단 창원병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2025.07.14
이종욱펠로우십 교원양성과정 병리학 전공 연수생 수료식 개최

이종욱펠로우십 교원양성과정 병리학 전공 연수생 수료식 개최

인제대학교는 7월 9일 의과대학 학장실에서 이종욱펠로우십 교원양성과정에 참여한 모잠비크 출신 병리학 전공 연수생 데르시오 안토니오 조르다오(Dercio Antonio Jordao)의 수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데르시오 연수생은 모잠비크 잠베지아주 켈리만 중앙병원(Quelimane Central Hospital) 소속의 일반의(General Practitioner)로, 2023년 3월부터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에서 석사학위 기반의 교원양성과정에 참여해 왔다. 그는 양영일 교수의 지도 아래 병리학 분야의 이론 및 실습 교육을 이수하며, 총 4학기 석사과정을 성실히 수행하였다. 이번 수료는 해당 학위과정의 주요 연수 단계를 성공적으로 마친 것을 의미한다. 양영일 교수는 “데르시오 연수생은 학문에 대한 열정과 책임감을 바탕으로 병리학 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었다”며 “향후 본국에서 교육과 진료를 통해 현지 보건의료 수준 향상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제대학교는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KOFIH)의 지원을 받아 2013년부터 모잠비크 켈리만 중앙병원의 운영관리 컨설팅을 수행한 바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협력 의과대학인 리쿵고대학교(UniLicungo)의 기초의학 분야 교원 양성을 위한 석사 연수과정을 운영 중이다. 현재는 이종욱펠로우십 교원양성과정을 통해 해부학, 생리학, 미생물학, 생화학 등 다양한 전공에서 교원 후보자들을 양성하고 있으며, 데르시오 연수생은 병리학 전공으로는 첫 번째 수료자이다. 수료식에서 데르시오 연수생은 “인제대학교에서의 배움은 저의 전문성과 교육 역량을 넓히는 중요한 경험이었으며, 향후 모잠비크 의학교육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에 최석진 의과대학장은 “데르시오 연수생이 병리학 분야에서 전문성과 사명감을 갖춘 교육자로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격려했다.

2025.07.11
일산백병원 소화기내과 이준성 교수, 대한간암학회 회장 취임

일산백병원 소화기내과 이준성 교수, 대한간암학회 회장 취임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소화기내과 이준성 교수가 2025년 대한간암학회 정기총회에서 27기 대한간암학회 회장으로 공식 취임했다. 임기는 2025년 7월부터 2026년 6월까지 1년간이다. 이준성 교수는 간암과 만성 간질환 분야에서 국내외로 인정받는 간질환 전문가로, 활발한 임상 진료와 연구 활동을 병행해오며 학술적 기여를 이어왔다. 이준성 교수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의학석·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미국 메이요 클리닉 로체스터에서 연수한 바 있다. 그간 이준성 교수는 ▲대한간암연구회 학술위원장 ▲대한간학회 의료정책이사 ▲대한간학회 간질환백서 편찬위원장 ▲대한간암학회 총무이사 ▲대한간암학회 감사 등 주요 학술단체의 핵심 보직을 두루 역임하며 국내 간질환 연구 및 정책 발전에 기여해왔다. 이준성 회장은 “간암은 국내 암 사망률 2위에 해당하는 심각한 질환으로, 대한간암학회는 지난 26년간 다학제 협력 연구, 국내 대규모 간암 데이터 구축, 학술지 국제화 추진, 대국민 홍보와 교육, 연구비 지원 등 다방면의 활동을 통해 간암 극복을 위한 노력을 이어왔다”며 “이번 임기 동안 진료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다학제 토론과 연구 교류의 장을 더욱 활성화하고, 최신 연구결과를 반영한 간세포암 진료 가이드라인을 새롭게 개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의·정 갈등으로 중단되었던 ‘간암 스쿨’을 비롯한 교육 프로그램을 재개하고, 젊은 연구자 지원을 강화해 차세대 간암 전문가 양성에 힘쓸 것이며, 학회 규정 재정비를 통해 내실 있는 운영 기반을 마련하고, 학회 공식 학술지인 Journal of Liver Cancer의 국제 학술지 등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대한간암학회는 1999년 창립되어 올해로 26주년을 맞이했으며, 간암 진료 및 연구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내과, 외과, 영상의학과, 병리과, 방사선종양학과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다학제 학술단체이다. 현재 약 870여 명의 회원이 활동 중이며, 국내 간암 치료 및 연구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25.07.10
위로가기